|
| 사업 목표 |
| ISO/TC 172/SC 7(안과용 광학렌즈 및 광학기기) 분야 국가표준 제ㆍ개정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표준협력개발기관(COSD) 지정 및 운영ㆍ관리 |
| 국제표준화 문서의 조사ㆍ검토 등을 수행하기 위해 ISO/TC 172/SC 7(안과용 광학렌즈 및 광학기기) 분야 간사기관 지정 및 운영ㆍ관리 |
| 사업의 필요성 |
| 1 ‘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’ 도입에 따라 의료제품 분야 국가표준(828종)이 식약처로 이관, 표준 개발 및 활성화 필요 |
| 반면, 의료제품의 국가표준 및 국제표준화 필요성 인식 부족 |
| * 전체 국가표준(약 2만개) 대비 의료제품(약828개) 분야 제·개정 및 국제규격 부합화 미흡 |
| 2 지속적인 국제규격(IEC, ISO 등)에 대한 한국국가표준(KS) 부합화 필요 |
| 사업내용 |
| 2022년 적부확인 대상 국가표준(KS) 검토 |
| 적부확인 대상 : 7건 |
| 별도추진 대상 : 7건 |
| * (산업표준화법 제10조) 산업표준은 제정 또는 개정한 날로부터 5년마다 그 적부(개정·폐지 필요성)를 확인하여야 함 |
| 국가표준 제·개정, 폐지 대상 표준의 기술검토 |
| 개정 표준 : 9건 |
| * 별도추진 5건 포함 |
| 유지 표준 : 1건 |
| ISO 8624 국가표준 별도추진 개정(안) 기술검토 실시 |
| ISO 11979-1 등 8종 표준 기술검토 수행 및 개정(안) 기술검토 실시 |
| 국제표준 문서 조사·검토 및 국제 표준화 활동 지원 등 |
| ISO/TC 172/SC 7 전문위원회 4회 개최 |
|
* (1차) ‘22.4.1.(금)/화상회의 * (2차) ‘22.6.3..(금)/화상회의 * (3차) ‘22.8.26.(금)/서울 코리아나 호텔 및 화상회의 * (4차) 미정(11월 예정) |
| 기타 표준활동 지원 및 홍보 |
| 사업조직도 |
| 대표기관 |
|
|
| 주관기관 |
|
|
| 담당기관 |
|
|
| ISO/TC 172/SC 7 조직현황(조직도 및 소관업무) | ||||||||||||||
|
| 업무의 범위 | ||||
| 담당분야 | ||||
| 광학과 포토닉스(광자학) 분야의 전문용어, 요구사항, 인터페이스 및 시험방법의 표준화 | ||||
| 제외범위 | ||||
| 영화촬영술 분야, 사진촬영술 분야, 눈 보호장치 분야, 마이크로그래픽스 분야, 전자통신을 위한 광섬유 분야, 그 밖에 광학적 요소의 전기적 안전성 및 일반적인 조명 | ||||
| 안과 용품 시장의 범주 | ||||
| 진단 및 모니터링 기기, 수술 기기 및 시력관리 제품(처방 안경렌즈 및 콘텐트렌즈) | ||||
|
| 성과목표 | |||||||||||||||||
| 단기적 성과 목표 | 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
| 장기적 성과 목표 | 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
| 영상안내 | |
|